정부가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참사 재발 방지를 위해 국적 항공사의 안전강화 대책을 일제히 점검한다. 3일 정부와 항공업계 등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이날오전 국적 항공사 11곳과 긴급안전대책 회의를 열었다. | 3일 전남 무안군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현장에서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 및 국과수 관계자 등이 엔진을 살피기 위해 방위각시설(로컬라이저)을 오르고 있다. 연합뉴스 | 회의에는 제주항공은 물론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등 11곳 항공사의 최고경영자(CEO)가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이들 항공사가 자체적으로 수립한 안전강화 대책을 점검했다. 이번 사고 이후 국토부가 각 항공사에 내린 특별안전 강화 지시의 후속 조치다. 중수본은 각 항공사의 안전강화 대책과 이행 실태에 따라 특별 점검을 실시하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중수본은 사고 기종인 B737-800 총 101대를 운용하는 국내 항공사 6곳에대한 점검 기간을 오는 10일까지 일주일 연장했다. 이번 사고의 원인으로 추정되는 엔진과 랜딩기어의 고장 기록을 들여다보는 것 외에도 정비시간 준수와 적절한 정비 부품을 사용했는지 등 B737-800 기종의 운용 실태에 대한 전방위 점검을 진행할 방침이다. 커넥터 분실로 국내에서 자료 추출이 어려워진 블랙박스 비행기록장치(FDR)은 다음 주 중 미국으로 이송될 예정이다. 국토부 등에 따르면 이번 사고를 조사하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는 다음 주 초 FDR을 미국에 보낼 계획이다. 블랙박스 분석이 끝나도 자료 수집, 청문회 등을 거쳐야 해 조사 마무리까지는 최소 수개월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