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4/1230/newhub_2024121211495049057_1733971790.jpg)
지난달 산업생산이 자동차·전자부품 생산 감소 영향으로 석달 연속 마이너스 흐름을 이어갔다. 소비는 석달 만에 반등에 성공했지만,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는 하락과 보합을 반복하며 9개월째 반등하지 못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산업생산은 한 달 전보다 0.4% 감소했다.
전산업 생산은 지난 8월 1.1% 늘며 4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지만, 9월(-0.4%)과 10월(-0.2%)에 이어 석 달째 감소했다. 자동차 파업 등으로 대형승용차, 하이브리드승용차 등 완성차 생산이 감소한 점이 영향을 미쳤다.
부문별로 광공업, 서비스업, 공공행정, 건설업에서 생산이 모두 줄었다. 광공업 중 반도체(3.9%)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자동차(-5.4%), 전자부품(-4.7%) 등에서 생산이 줄었다.
서비스업에서는 정보통신(3.2%)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금융·보험(-2.9%), 수도·하수·폐기물처리(-5.7%) 등에서 생산이 줄었다.
제조업 재고는 전월 대비 0.8% 감소했고 평균가동률은 71.8%로 전월 대비 0.5%포인트 하락했다.
소비지표는 반등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4% 증가했다. 지난 9월(-0.3%)과10월(-0.8%) 두 달째 줄어들다가 석 달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0.7%), 승용차 등 내구재(-0.1%)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의복 등 준내구재(4.1%)에서 판매가 늘었다.
소매업태별로는 전문소매점(0.7%), 무점포소매(0.7%) 등에서 판매가 증가했으나, 승용차 및 연료소매점(-5.9%), 슈퍼마켓 및 잡화점(-4.7%) 등에서 판매가 줄었다.
설비투자는 기타운송장비 등 운송장비(0.1%)에서 투자가 늘었으나, 특수산업용 기계 등 기계류(-2.0%)에서 투자가 줄어 전월대비 1.6% 감소했다.
국내기계수주는 공공(-63.3%) 및 민간(-10.8%)에서 수주가 모두 줄어 전년동월대비 15.3% 감소했다. 건설수주(경상)는 주택 등 건축(69.0%) 및 발전·통신 등 토목(40.6%)에서 수주가 모두 늘어 전년동월대비 62.9% 증가했다.
현재 경기를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97.6으로 전월보다 0.5포인트 하락했다. 동향지수 순환변동치는 7개월 하락하다가 지난달 보합세를 기록했지만 반등하지 못하고 재차 하락했다.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100.8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세종=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