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경제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월급 13년 꼬박 모아야 '서울에 내 집'
아시아경제 기사제공: 2024-12-27 09:59:56

서울에서 집을 사려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3년간 모아야 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년 대비 2년가량 기간이 단축됐는데 고금리 등 여파에 집값이 하락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자가 보유율은 전국적으로 감소했으나 신혼부부나 청년의 경우 내 집 거주가 늘어 눈길을 끈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23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를 27일 발표했다.
주거실태조사는 국민 주거생활에 관한 전반적인 사항을 파악하고, 주택정책 수립 등에 참고하기 위해 매년 실시하는 표본조사다.
이번 조사는 전국 6만1000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서울에서 월급을 모아 내 집을 마련하는 데 드는 시간이 단축됐다.
지난해 자가 가구의 연 소득 대비 주택가격 배수(PIR.Price Income Ratio)가 서울은 13배(이하 중위수)로 전년(15.2배)보다 소폭 줄었다.
PIR은 월급을 쓰지 않고 꼬박 모아 집을 마련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뜻한다.
같은 기간 수도권은 9.3배→8.5배, 광역시 등은 6.8배→6.3배로 감소했다.
전국 기준으로는 6.3배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나타냈고, 17개 시·도 가운데 PIR이 오른 곳은 경북(3.4배)과 경남(4.5배)뿐이었다.


이는 조사 시점에 고금리 등 여파로 집값이 하락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
PIR은 매년 6월 기준으로 조사한 주택가격을 반영해 산출한다.
서울의 경우 2021년 14.1배였던 PIR이 집값이 상승하던 2022년에는 15.2배로 커진 바 있다.


전국 주택 자가 보유율은 60.7%로 전년(61.3%) 대비 0.6%포인트 감소했다.
실제 거주 여부와 무관하게 자가가 있는 가구 비율을 뜻한다.
수도권 자가 보유율은 55.8%→55.1%, 광역시 등은 62.8%→62.3%로 낮아졌다.
반면 자가에 실거주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자가 점유율은 전국 기준 57.4%로 전년 대비 0.1%포인트 감소했다.
임차 가구 비중은 38.8%로 전년과 같았다.
다만 지난해 신혼부부 자가 점유율은 46.4%로 전년(43.6%)보다 2.8%포인트 증가했다.
청년(만 19~34세)도 같은 기간 13.2%에서 14.6%로 자가 점유율이 확대됐다.


주거의 질적 측면에서는 지난해 최저주거기준 미달 가구가 3.6%를 기록해 역대 가장 낮았다.
최저주거기준은 국민이 쾌적하고 살기 좋은 생활을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요건을 의미한다.
1인당 주거 면적도 36.0㎡로, 전년(34.8㎡)보다 증가했다.
가장 필요한 주거 지원 프로그램은 주택구입자금 대출지원(35.6%), 전세자금 대출지원(24.6%), 월세보조금 지원(11.0%), 장기공공임대주택 공급(10.7%) 등의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노경조 기자 felizk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좎럥큔�얜��쇿뜝占�
HTML�좎럥梨룟퐲占�
亦껋꼶梨띰옙怨�돦占쎌슜��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