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와 소방청은 양 기관에서 개별로 운영하는 '화학물질 정보제공 시스템'에서 중복된 화학 물질 4091종 중 GHS 정보가 다른 565종의 정보 통일화 작업을 마쳤다고 26일 밝혔다. GHS 정보는 화학 물질에 대한 분류·표지 국제 조회 시스템으로, 화학 물질을 저장, 취급할 때 요구되는 물질 안전 관련 정보이다. 물질명과 그림문자뿐 아니라 신호어, 유해 위험 문구 등을 포함한다.
![](//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4/1226/newhub_2024071814094056491_1721279380.jpg)
현재 고용부 물질안전보건자료시스템에는 2만555종, 소방청 국가위험물통합정보시스템에는 7364종의 화학 물질이 등록돼 있다. 그간 같은 화학 물질임에도 부처별 화학물질 정보제공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그림문자와 신호어, 유해 위험 문구 등에 차이가 있어 사용자 혼란을 야기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고용부와 소방청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3월 'GHS정보 통일화' 작업을 매년 실시하기로 합의, 올해 양 기관의 화학물질 정보제공 시스템과 관련한 작업을 착수했다. 이 과정에서 화학 물질 정보를 1대 1로 비교하고, 기관 특성에 따른 전문 분야별 정보 신뢰성을 검토하는 등의 작업을 거쳐 GHS 정보가 100% 일치하도록 했다.
고용부와 소방청은 이번 성과로 화학 물질 포함 제품에 대한 안전하고 일관성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산업계의 경우 화학 물질의 수출입, 저장, 취급 과정에서 혼란을 방지할 수 있고, 정부 역시 신속하고 정확한 화학 사고 대응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최태호 고용부 산재예방감독정책관은 "근로자 사고 예방과 안전 확보를 위해서는 정확한 화학 물질 정보가 바탕이 돼야 한다"며 "앞으로도 정보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협업을 계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사업장은 화학 물질 정보를 활용해 근로자 교육과 화학 물질 안전 관리에 만전을 기해줄 것을 당부한다"고 덧붙였다.
세종=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