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엉겅퀴꽃', '철원 평야', '춤을 추리라' 등 한국 현대사의 고통을 시로 풀어내, 민초들의 가슴을 쓰다듬은 민영(본명 민병하) 시인이 17일 별세했다.
향년 91세.
1934년 강원도 철원에서 태어난 고인은 유년기를 만주에서 보낸 뒤, 해방 이후 고향으로 돌아왔다.
1959년 '현대문학' 추천을 통해 등단한 후, ‘단장’, ‘용인 지나는 길에’, ‘냉이를 캐며’, ‘엉겅퀴꽃’ 등 다수의 시집을 펴내며 꾸준히 작품 활동을 이어왔다.
민영 시인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분단과 전쟁이라는 한국 현대사의 비극을 직접 겪은 세대로서, 시대의 상처를 보듬는 시를 썼다.
대표작인 ‘엉겅퀴꽃’은 전쟁으로 남편을 잃은 여성들의 한을 들꽃인 엉겅퀴에 빗대 표현했고, ‘철원 평야’는 고향 철원의 황량한 들판을 배경으로 한국전쟁이 훑고 지나간 빈 들판을 내려다본 감상을 담아냈다.
1991년 시집 '바람부는 날'로 만해문학상을 수상했다.
당시 심사위원단은 "단아한 형식 속에 긴장의 자세를 잃지 않는 시인의 지속적인 자기성찰이 개인사와 민족사를 함께 아우르는 시적 성취를 이뤘다"고 평했다.
문단 활동에도 적극적이었던 고인은 민족문학작가회의 이사와 부회장을 지내며, 한국 문학의 시대정신을 지켜내는 데 힘썼다.
빈소는 삼육서울병원 추모관에 마련됐으며, 장례는 문인장으로 치러진다.
발인은 19일 오전 8시다.
아주경제=윤주혜 기자 jujusun@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