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문화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쉽게 설명한다. ..첫 주제는 '삼국시대 기와'

국립중앙박물관은 오는 5월7일 오후 '박물관과 함께하는 역사문화탐구' 강연회를 신설해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국립중앙박물관을 비롯한 전국 국립박물관 수장고의 다양한 소장품을 국민에게 널리 소개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서로 관련 있는 문화유산과 주제들을 소통과 융합의 관점에서 연결 짓고 편안한 강연회 형식으로 대중과 공유할 계획이다.
수강을 위한 신청절차는 따로 없으며 당일 누구나 현장에서 자유롭게 들을 수 있다.


강연회의 첫 주제는 '삼국시대 기와를 말하다'이다.
고구려·백제·신라 건축문화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기와에 대한 학술적 성과를 알기 쉽게 풀어낸다.


이날 강연은 총 3개의 주제 발표로 구성된다.
첫 번째 발표는 삼국시대 기와 전문가인 김유식 전 국립제주박물관장이 맡아 '신라 영묘사의 기능과 양지 추정 작품의 분석'을 주제로 진행한다.
경주 영묘사(令妙寺/靈妙寺) 터에서 출토된 기와를 집중 조명하고, 신라 기와와 예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승려 장인 양지(良志)의 작품 세계를 중점적으로 살펴볼 예정이다.


두 번째 발표에서는 윤용희 학예연구사(국립부여박물관)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고구려 기와'를 중심으로 고구려 기와의 종류와 수량을 유적별로 정리하고, 문양과 제작기법을 검토해 그 성격과 특징을 소개한다.
이 발표에 대해서는 김진경 학예연구사(국립중앙박물관)가 심도 깊은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신민철 학예연구사(국립청주박물관)가 '부여 금강사지'를 바탕으로 일제강점기부터 현재까지 시행된 금강사지의 조사 현황을 검토하고 백제 기와의 특징을 발표한다.
토론자로는 최경환 학예연구실장(국립공주박물관)이 참여해 논의를 심화시킬 예정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이번 강연회를 시작으로 매년 상·하반기에 각각 하나의 주제를 정해 '박물관과 함께하는 역사문화탐구'를 정례적으로 운영한다.
이는 고고·역사·미술 등 여러 분야의 새로운 조사연구 성과를 지식대중과 폭넓게 공유하면서 공감대를 넓히는 교육 프로그램 출발점의 의미를 지닌다.
국립박물관은 다양한 방식으로 소장품을 적극 알리고, 누구나 쉽게 역사문화 콘텐츠를 접할 수 있는 소통의 장을 지속적으로 마련해 나갈 방침이다.


국립중앙박물관 김재홍 관장은 "박물관과 함께하는 역사문화탐구 강연회는 그동안 전국의 국립박물관이 이룬 다양한 학술 조사연구 성과를 융합적 관점에서 정리해 대중과 나누는 뜻깊은 자리"라며 "이번 강연회를 계기로 더 많은 분이 우리나라 고대 건축문화에 관심을 갖고 이해를 심화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서믿음 기자 fait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