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문화뉴스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한국의 장 문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아시아경제 기사제공: 2024-12-04 08:47:41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한국의 장(醬) 문화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 됐다.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 간 위원회(무형유산위원회)는 3일(현지시간) 오후 파라과이 아순시온에서 열린 회의에서 장 담그기를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정식 명칭은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Knowledge, beliefs and practices related to jang-making in the Republic of Korea)’다.


위원회는 된장, 간장 등을 만들어 나눠 먹던 문화가 공동체 유지에 큰 역할을 한단 점에 주목했다.
“장은 가족의 정체성을 반영하며 가족 구성원 간 연대를 촉진한다”며 “공동의 행위를 통해 공동체의 평화와 소속감을 조성한다”고 평가했다.


장은 한국인의 밥상을 책임져온 기본양념이다.
발효, 숙성,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된장, 간장, 고추장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다.
이를 담그는 문화는 장이라는 음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료를 준비해 만들고 관리·이용하는 과정에서 전하는 지식, 신념, 기술 등을 포괄한다.



콩을 발효해 먹는 문화는 중국, 일본 등에도 있다.
한국의 장은 콩 재배, 메주 만들기, 장 만들기, 장 가르기, 숙성, 발효 등 제조법에서 큰 차이가 있다.
특히 메주를 띄운 뒤 된장과 간장이라는 두 가지 장을 만들고, 지난해에 사용하고 남은 씨간장에 새로운 장을 더하는 방식은 독창적 문화로 여겨진다.


한국의 장 문화는 ‘기다림의 미학’으로도 통한다.
콩을 삶고 으깬 뒤 일정한 크기로 뭉쳐 메주를 만들고, 이를 볏짚으로 묶어 적당한 온도에서 발효하고 건조하는 데 최소 3개월 이상 걸리기 때문이다.
구수한 맛이 나기까지 수년이 걸리기도 한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장 담그기는 가족 내에서 전승돼온 집안의 역사와 전통을 담고 있으며, 한국인의 일상 문화에 뿌리를 이룬 유산”이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한국인의 음식 문화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음에도 보편적 일상 음식이라는 인식 때문에 가치가 소홀히 여겨져 왔다”며 “우리 문화에 자부심을 갖고 소중히 생각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등재로 한국은 인류무형문화유산 스물세 건을 가진 나라가 됐다.
우리나라는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을 시작으로 2022년에 등재된 ‘한국의 탈춤’까지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스물두 건을 보유해왔다.



유네스코는 문화 다양성의 원천인 무형유산의 중요성을 알리고 무형유산 보호를 위한 국가·국제적 협력과 지원을 도모하기 위해 인류무형문화유산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26년에 ‘한지제작의 전통지식과 기술 및 문화적 실천’ 등재에 도전한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