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HBM 독주' SK하이닉스, 2분기 영업익 9조2129억…"사상 최대 실적"

SK하이닉스가 올해 2분기 고대역폭메모리(HBM) 5세대 HBM3E 12단 판매 영향으로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경신했다.
당초 매출 20조원대를 예상했던 시장 전망치를 상회한 결과다.
D램과 낸드플래시 등 모두 예상보다 높은 출하량을 보이면서 1분기에 이어 또 다시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24일 연결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9조2129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68.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매출은 22조232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35.4% 늘었다.
순이익은 6조9962억원으로 69.8% 증가했다.
영업이익률도 41%로, 이전 분기(42%)에 이어 40%대를 유지했다.


SK하이닉스는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기존 최고 기록이었던 지난해 4분기(매출액 19조7670억원, 영업이익 8조828억원)를 넘어서며 사상 최대 분기 실적을 달성했다.


인공지능(AI) 가속기에 들어가는 HBM 매출이 실적을 견인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세계 최초로 HBM3E 12단 신제품을 양산하면서 엔비디아에 제품을 대량 공급하고 있다.
SK하이닉스 측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AI(인공지능)에 적극 투자하면서 AI용 메모리 수요가 꾸준히 늘어났다"고 밝혔다.



특히 D램과 낸드플래시 모두 예상을 웃도는 출하량을 기록하면서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했다.
SK하이닉스는 "D램은 HBM3E 12단 판매를 본격 확대했고, 낸드는 전 응용처에서 판매가 늘어났다"며 "업계 최고 수준의 AI 메모리 경쟁력과 수익성 중심 경영을 바탕으로 좋은 실적 흐름을 이어왔다"고 덧붙였다.


시장에서는 3·4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넘어설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SK하이닉스는 고객들이 2분기 중 메모리 구매를 늘리면서 세트 완제품 생산도 함께 증가시켜 재고 수준이 안정적으로 유지됐고, 하반기에는 고객들의 신제품 출시도 앞두고 있어 메모리 수요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또 AI 모델 추론 기능 강화를 위한 빅테크 기업들의 경쟁도 고성능, 고용량 메모리 수요를 늘릴 것으로 봤다.
아울러 각국의 '소버린 AI' 구축 투자가 장기적으로 메모리 수요 증가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회사는 HBM을 전년 대비 약 2배로 성장시켜 안정적인 실적을 창출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하반기 양산을 목표로 준비 중인 HBM4 역시 적기 공급이 가능하도록 준비할 계획이다.
송현종 SK하이닉스 사장은 "내년 수요 가시성이 확보된 HBM 등 주요 제품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올해 일부 선제적인 투자를 집행하겠다"며 "AI 생태계가 요구하는 최고 품질과 성능의 제품을 적시 출시해 고객 만족과 시장 성장을 동시에 이끌어 나가는 '풀 스택 AI 메모리 프로바이더'로 성장하겠다"고 밝혔다.



박준이 기자 giver@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첨부파일
  • newhub_2025062714420024996_1751002920.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