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오는 16일 총파업을 결의한 것에 대해 경영계는 "파업의 목적이 될 수 없는 정치적 요구를 앞세운 불법 정치파업"이라고 강한 우려를 표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는 14일 입장문을 통해 "최근 우리 경제는 급격한 통상환경의 악화와 지속되는 내수 부진으로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민주노총은 노동조합법 제2·3조 개정(노란봉투법)과 노정 교섭, 5인 미만 사업장 근로자에 대한 근로기준법 전면 적용과 특수고용 및 플랫폼 종사자의 노동권 보장을 위한 근로기준법 개정 등을 요구하며 오는 16일과 19일 총파업에 들어가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경총은 민주노총의 총파업을 '불법 파업'이라고 규정하면서 "모든 경제 주체가 힘을 모아야 할 상황에 정치적 구호를 내세우고 자신들의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벌이는 불법 정치파업은 경제의 어려움을 가중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총파업 계획을 철회하고 책임 있는 경제 주체로서 위기 극복 노력에 동참하기를 바란다"고 총파업 결의를 철회할 것을 요청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시아경제(www.asiae.co.kr)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