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LG U+, 데이터센터 냉방 기술실증…AI·디지털트윈 접목

LG유플러스는 LG전자, LG CNS와 함께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한 데이터센터 냉방 효율화 기술(DCIM) 실증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사용을 줄이고 운영 효율을 높이는 관리 기술을 자체적으로 확보하는 게 목적이다.
이를 위해 LG그룹 계열사 간 힘을 모은다.



구체적으로 AI를 통해 냉방 설비를 제어하고 가상 환경에서 운영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 냉각 에너지 소비를 최대 10%까지 절감하는 것이 목표다.


실증은 LG유플러스의 평촌2센터에서 우선 진행된다.
냉동기와 컴퓨터룸 공조기(CRAC) 등 주요 설비에 AI 제어 알고리즘과 디지털 트윈 모델을 적용한다.
실증 결과는 향후 파주센터를 포함한 LG유플러스의 주요 데이터센터로 확대 적용될 예정이다.


현재 LG유플러스는 평촌1·2, 가산, 서초1센터를 통합운영시스템으로 관리하고 있다.
올해 중 논현·상암센터까지 운영체계를 확대할 계획이다.
내년 완공 예정인 파주센터에는 실증 결과를 반영한 AI 기반 통합 운영 시스템이 구축될 예정이다.


LG전자는 디지털 트윈 기반의 CRAC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평촌2센터 설비에 적용해 최적 운전 조건을 도출하는 역할을 맡는다.
LG CNS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바탕으로 AI 모델을 설계하고 다른 센터로 확장 가능한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평촌2센터 내 전용 테스트룸을 구성해 실시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AI 제어를 테스트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등 프로젝트 전반을 이끌고 있다.
LG전자, LG CNS와는 3사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세 회사는 이번 협력을 통해 실증 중심의 운영 노하우를 쌓고 그룹 내부에서 자립적인 기술 체계를 구축해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실증 프로젝트는 총 3단계로 구성되며, ▲냉방·공조 최적화 ▲설비 예지보전 ▲전력·설비 통합 관제 기능 확장 순으로 단계적으로 고도화될 예정이다.
실증은 오는 9월부터 본격 진행될 예정이다.


정숙경 LG유플러스 AIDC사업담당(상무)은 "국내 데이터센터 업계에서도 AI 기반 운영 시스템에 대한 관심은 높지만 실제 적용 사례는 아직 많지 않다"며 "이번 실증을 통해 냉각 전력의 효율을 높이고 그룹 차원의 스마트 데이터센터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70708291835302_1751844558.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