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로템의 K2전차 폴란드 수출 2차 계약 협상이 완료됐다.
계약 금액만 60억달러대(약 9조원)로 개별 방산 수출계약으로는 사상 최대 규모다.

3일 현대로템에 따르면 지난 2022년 폴란드는 급격히 높아진 안보 수위에 긴급히 대응하기 위해 우리 방산업체와 포괄적 합의 성격의 총괄계약(Framework Contract)을 체결한 바 있다.
이후 같은 해 무기체계 4종(K2전차·K9자주포·FA-50·천무)에 대한 1차 이행계약을 체결하고 2023년 K9자주포, 2024년 천무 등 2차 이행계약도 순차적으로 체결했다.
K2전차 2차 계약만 늦어졌다.
협상 초기에는 금융 지원 문제로 난항을 겪다가 전차 가격과 대수를 두고 협상이 길어졌다.
또 K2 전차 플랫폼에 탑재되는 임무 장비를 어떤 나라에서 만들지를 놓고 줄다리기 협상을 이어왔다.
이번 2차 계약 물량은 2022년에 맺은 1차 계약과 같다.
1차 계약은 180대 중 117대(K2GF)를 현대로템이 생산해 직접 공급하고 63대(K2PL)는 폴란드 국영 방산그룹 PGZ가 현지에서 생산하기로 했다.
이번 2차 계약에서는 국내 생산 K2전차와 함께 폴란드 군의 요구성능에 맞게 K2PL를 개발해 인도할 예정이다.
2차계약에서는 금액도 늘었다.
기술이전 및 유지·보수·운영(MRO) 조건이 붙었고 구난전차, 교량전차, 개척전차 등 관련 장비도 함께 공급하기로 하면서 계약금액이 2배로 올랐다.
교량전차는 교량이나 가교를 연결하고 구난전차는 고장 난 전차나 장갑차가 수리받도록 후방으로 견인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장애물 개척 전차는 굴착기나 지뢰 제거용 장비를 장착한 전차다.
당초 현대로템은 계열 전차가 일정 부분 수익성이 있는 만큼, 2차 계약에 계열 전차를 포함하지 않고 별도 사업으로 추진했다.
하지만 폴란드 내 생산 기술 부족 등의 이유로 2차 계약에 모두 포함한 것으로 전해졌다.
추가 수출 가능성도 높다.
당초 폴란드는 K2전차 1000여대를 도입하기로 했다.
1차와 2차 계약 물량은 360대에 불과하다.
2차 계약부터는 일부 물량을 현대로템과 폴란드 방산업체의 협력을 통해 현지에서 조립생산한다.
폴란드 내 K2전차 생산시설도 구축될 예정이다.
현지생산 거점 구축은 총괄계약에 포함된 K2전차의 나머지 물량에 대한 후속 계약의 이행가능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더 중요한 의미가 있다.
업계에서는 현지생산을 통해 유럽 진출 거점 구축과, 폴란드 추가 계약에 가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했다.
현대로템 관계자는 "수십 년간 축적해온 기술력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K2 전차의 시장 확대에 노력하고 있다"며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인명을 보호하는 자주국방의 핵심 전력인 전차 부문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에 국산 전차의 우수성을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양낙규 군사 및 방산 스페셜리스트 if@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