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과 기업이 함께 컨소시엄을 형성해 원천기술 개발과 상용화를 함께 추진할 경우 어려움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것이죠."
인공지능(AI) 자율제조 도입에 앞서 기술개발에 집중하는 민간과 학계에서는 '부처 칸막이'를 가장 큰 진입장벽 중 하나로 지목했다.
장준혁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AI, 특히 로봇의 경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맞물려 돌아가는 시스템이라 이러한 문제가 발생한다"면서 "정부도 이를 인식해 부처 연합과제 등을 통해 해결 방법을 찾으려 하지만, 이제 시작하는 단계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AI와 관련한 정부 부처 간 역할은 산업 수요(산업부), 기술개발(과기정통부), 기업지원(중기부)으로 사실상 구분해 분담돼있다.
각각의 기능은 필요하지만, 전체적인 그림과 방향을 조율할 주체가 명확하지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지난 2월 교육부와 과기부가 발표한 '국가연구소 2.0' 사업은 이 같은 문제 해결에 정부가 의지를 가지고 나선 사례로 꼽힌다.
이 사업은 교육부와 과기부가 재원을 절반씩 분담해 대학 부설 연구소를 선정하고, 연구소당 연 100억원을 10년간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1999년부터 '국가연구소 1.0(국가지정연구실)' 사업 과정에서 소규모 연구소가 성과를 내는 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대학 부설 연구소를 소수로 선정해 집중 지원한다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산업부가 컨트롤타워가 돼 다부처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특히 이제 막 태동하는 AI 자율제조 기술과 관련한 표준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 AI 솔루션 업체 관계자는 "신뢰할 수 있는 인증 체계와 윤리 기준, 보안 가이드라인 등이 있어야 가장 중요한 수급 매칭이 가능하다"면서 "우리가 만든 기술을 해외에 수출하려고 해도 신뢰도가 떨어져 성사되지 않는 만큼, 정부가 인증이나 추천서 등을 발급하는 등의 지원을 해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 "산업부가 중심이 돼 기술부처와 지원부처 간 협업을 조율하는 통합 플랫폼 형태의 정책을 재편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면서 "기술이 실질적 성과로 이어지려면 누가 기술을 만들 것인가보다 누가 가장 효과적으로 산업에 심을 수 있는가가 중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세종=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
심성아 기자 hea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