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테크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AI 도입 기업, 매출 4%·부가가치 7.6%↑…제조업 도입률은 4%불과"

AI를 도입한 기업이 도입하지 않은 기업보다 매출과 부가가치에서 뚜렷한 성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 지속성장이니셔티브(SGI)는 8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AI 도입 기업은 매출이 평균 4%, 부가가치는 7.6% 증가했다고 밝혔다.
SGI는 통계청 기업활동조사 데이터를 활용해 2017~2023년 동안 기업의 AI 도입 여부와 성과 차이를 분석했다.


도입 전후 변화, 도입·미도입 기업 간 차이를 비교한 결과, AI를 도입한 기업은 상위 성과 기업 비중이 도입 이후 더 늘었고, 전반적으로 성과와 생산성 모두 높은 수준을 보였다.


다만 생산성 효과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뚜렷하지 않은 결과가 나왔다.
SGI는 AI 도입 후 시간이 지나야 성과가 본격화되는 J-커브 효과나 데이터 한계 때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내 전체 기업의 AI 도입률은 2023년 기준 6.4%로 2018년 2.8%보다 늘었다.
특히 생성형 AI가 확산된 2022년 이후 상승 폭이 컸다.
업종별로는 정보통신업이 26%로 가장 높고, 금융·보험업, 교육서비스업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제조업은 4%에 그쳐 산업 간 격차가 뚜렷했다.


SGI는 제조업에서 AI 도입이 지체되면 중국 등 경쟁국에 뒤처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제조업 현장은 복잡한 환경 요인 때문에 범용 AI 활용이 어렵고, 산업에 특화된 AI 기술 개발이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향후 생산성 향상을 위해 다음 세 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첫째, AI 확산을 위한 인프라와 인력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둘째, 제조업 중심의 AI 특화 거점 조성, 셋째, AI 실무 교육과 전문가 매칭 등 인재 양성 체계 구축이다.


SGI는 AI 기술이 기업에 실질적인 효과를 내려면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서 경영진의 전략적 판단 능력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대한상의는 AI 인프라 구축, 제조 AI 확산, 데이터·전력·인재 확보, AI 규제 체계 마련 등을 포함한 '333 전략'을 발표하며 10대 정책과제를 정부에 제안한 바 있다.



박소연 기자 mus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