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유리기판 시장이 올해 1분기 패널 제조업체의 높은 가동률 등에 힘입어 10년 만에 최고 매출을 기록했다.

29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1분기 디스플레이 유리기판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5%, 전년 동기 대비 11% 증가했다.
다만 2분기 출하량은 전 분기 대비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3분기에는 전 분기 대비 3%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1분기 유리기판 수요는 2022년 1분기에 기록한 최고치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디스플레이 유리기판 업계의 생산능력은 전 분기 대비 2%,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했다.
8세대 이상 유리기판의 점유율은 79%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액정표시장치(LCD) 생산라인이 관세 대응 차원에서 미국으로의 TV 제품 출하를 위해 가동률을 높이고 중국 정부 보조금으로 촉진된 중국 내 TV 수요 증가에 대응한 결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 보면 중국 패널 제조업체들의 지배력이 두드러지면서 한국과 일본 시장의 영향력이 점차 축소되고 있다고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진단했다.
코닝이 샤프의 10세대 생산라인 가동 중단 이후 일본 내 생산을 중단한 반면 중국 내 로컬 유리기판 제조업체들은 8.5세대 생산 시설을 신규로 증설했다.
전체 유리기판 생산 능력은 여전히 수요보다 다소 높은 수준이며 일부 설비는 유휴 상태로 남아있다.
우리나라는,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생산라인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로 전환하고 LCD 라인을 폐쇄하면서 국내 총 디스플레이 생산 능력이 감소했다.
우리나라 유리기판 시장 점유율은 2018년 초 27%에 달했으나 최근에는 약 6% 수준에 머물고 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