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는 수도권 최대 규모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인 평촌2센터에 차세대 액체냉각 기반 데모룸을 개소했다고 29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데모룸을 통해 AI 데이터센터(AIDC)의 냉각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실증에 나선다.
이번 데모룸은 고발열 인공지능(AI) 서버 환경에 최적화된 냉각 성능을 갖췄다.
액체냉각은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데이터센터 구현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실제 고밀도 AI 연산 환경에서 액체냉각의 성능과 안정성을 선제 검증한다.
이를 통해 향후 그래픽처리장치(GPU) 성능 진화와 인프라 확장에 따른 기술적 리스크를 줄이고 운영 효율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데모룸에서 진행되는 기술 실증에는 데이터센터 액체냉각 전문 기업인 버티브, 쿨아이티 시스템즈를 비롯해 LG전자, 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GST) 등 국내외 주요 파트너들과 공동으로 참여했다.
실제 운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용화 검증과 기술 고도화가 추진될 예정이다.
데모룸에서 검증하는 냉각 기술은 ▲직접-칩 냉각(Direct To Chip Cooling) ▲액침냉각(Immersion Cooling)이다.
직접-칩 냉각은 서버에 부착된 냉각판(콜드플레이트)을 통해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방식이며, 액침냉각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유가 담긴 수조에 서버를 직접 담가 발열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핵심 장치인 'CDU(Coolant Distribution Unit)'를 통해 냉각수가 서버 전반에 고르게 분배·회수되면서 전체 시스템의 냉각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는 방식이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 3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25에서 해당 액체냉각 기술을 공개했다.
이번 평촌2센터 데모룸은 실제 연구·개발(R&D) 테스트베드로서 냉각 기술을 실증하는 환경으로 운영된다.
LG유플러스는 이번 기술 실증을 통해 확보한 역량과 노하우를 기반으로 평촌2센터와 건립 예정인 파주 AIDC에 액체냉각 기술을 본격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냉각 에너지 절감 ▲시스템 무정지 운영 ▲운영비 절감 ▲유지·보수 효율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정숙경 LG유플러스 AIDC사업담당(상무)은 "AI와 고성능 컴퓨팅 수요의 급증으로 데이터센터 발열 문제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냉각 기술은 지속가능한 AI 데이터센터 운영의 핵심 역량"이라며 "이번 액체냉각 기술 실증은 LG유플러스가 고객가치 중심의 기술 혁신을 통해 도전과 도약을 이어가는 계기이자,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AI 인프라 구축을 선도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