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가입자 정보 보호를 위해 유심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유심 포맷' 방식을 통해 물리적으로 유심을 교체하지 않아도 동일한 효과를 거두게 하겠다고 29일 밝혔다.

SK텔레콤은 이날 공식 입장문을 통해 "현재 유심 재고 부족과 로밍 이용 고객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 역량을 총동원해 해결 방법을 모색 중"이라며 "5월 안으로 시스템 개발을 통해 두 문제 모두 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해결책 중 하나는 유심 소프트웨어를 변경하는 방식인 유심포맷이다.
유심교체를 하지 않고도 교체에 준하는 효과를 낼 수 있어 고객불편 해소가 기대된다고 SKT는 밝혔다.
다만, 유심포맷도 매장을 방문해 유심변경과 관련한 시스템 매칭 작업을 거쳐야 한다.
5월 중순까지는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SKT는 내다봤다.
기존의 '유심보호서비스'도 로밍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동시에 해외에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을 진행 중이다.
SKT는 "5월 중순에는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며 "앞으로는 해외여행이나 출장을 계획 중인 고객들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유심보호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SK텔레콤은 사이버 침해 사태와 관련해 고객 불안이 높아지면서 유심보호서비스 가입을 권유하고, 유심 무료 교체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유심보호서비스는 로밍 시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지적됐고, 유심 무료 교체의 경우 물리적인 재고가 부족해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SK텔레콤은 "유심은 현재 100만개를 확보했고, 5월 말까지 약 500만개 추가 수급할 계획"이라고 했다.
이어 "유심보호서비스 가입도 처리용량을 크게 늘려 29일에는 1000만명을 넘어서고, 5월 초까지 1500만명 정도가 서비스에 가입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보경 기자 bkly47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