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인 트럼프 주니어가 1박2일 일정으로 우리나라를 찾아 국내 주요 대기업 총수들과 릴레이 회동에 나선다.

29일 재계에 따르면 트럼프 주니어는 이날 오후 전용기편으로 입국해 30일까지 방한 일정을 소화한다.
그의 방한은 한 보수 청년단체가 주관한 정치 콘퍼런스 '빌드업코리아 2024' 행사 참석차 지난해 8월 우리나라를 찾은 이후 8개월 만이다.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한 뒤로는 처음이다.
이번 방한은 평소 친분이 두터운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이뤄졌다.
트럼프 행정부와 소통할 수 있게 가교 역할을 해달라는 국내 재계 측 의견을 수렴해 정 회장이 한국 기업인들을 직접 만나달라고 요청하고, 트럼프 주니어가 이를 수락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30일 서울 모처에서 주요 대기업 총수와 전면 비공개로 면담할 예정이다.
미국 사업 비중이 큰 반도체와 자동차, 에너지, 전자, 철강, 방산 등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 총수들이 트럼프 주니어와의 만남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전해졌다.
10대 그룹 주요 총수를 포함해 대략 20명가량이 면담할 것으로 거론되지만 짧은 방한 일정으로 숫자는 축소될 수 있다.
재계 관계자는 "라운드 테이블 형태로 참석자들이 다 같이 착석하는 방식이 아니라 트럼프 주니어와 1대 1로 만나 개인당 1시간가량 면담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전체적인 시간이나 총수들의 일정 등을 고려했을 때 면담 대상과 인원은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10대 그룹 총수 가운데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해외 체류 일정으로 참석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다.
또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은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 경제사절단을 이끌고 인도네시아를 방문 중이어서 면담 여부가 불투명하다.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도 이날 방한한 존 펠란 미국 해군성 장관과 함께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를 둘러볼 예정이어서 면담 일정을 잡기가 어려운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주니어는 이번 방한 기간 대기업 총수 외에 정·관계 인사와 만날 계획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국에서 그 나라 정·관계 인사를 만나려면 먼저 미국 백악관과 협의를 해야 하는데 사전에 이런 절차가 없었고 앞으로도 협의 계획이 없다는 것이다.
한편 이번 방한을 주선한 정용진 회장은 트럼프 주니어의 거의 모든 일정을 함께할 것으로 전해진다.
정 회장과 트럼프 주니어는 친분 관계가 남다르다.
같은 개신교 신자로서 종교적으로도 특별한 관계로 알려졌다.
앞서 정 회장은 지난해 12월 트럼프 주니어의 초청으로 트럼프 대통령의 자택이 있는 미국 플로리다주 팜비치의 마러라고를 방문했다.
이 자리에서 당시 당선인 신분이던 트럼프 대통령과도 면담했다.
또 지난 1월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때 워싱턴을 방문해 트럼프 주니어의 주선으로 미국 정·관계 유력 인사들을 접촉했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