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4일 취임 후 첫 공식 일정으로 대전 전통시장과 골목상권을 찾아 소상공인 현장 챙기기에 나섰다.
'현장에서 정책을 시작하겠다'는 취임 일성에 따라 가장 먼저 전통시장부터 찾은 것이다.
한 장관은 이날 대전 유성구의 은구비서로 골목형상점가와 동구 중앙시장활성화구역을 연이어 방문해 소상공인들, 상인단체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가졌다.
그는 "전통시장과 골목형 상점가는 지역경제의 주요 기반을 이루는 현장"이라며 "상인 여러분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곧 민생 회복의 가장 중요한 기반"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은구비서로 골목형상점가 상인회와 만나 "이곳은 상인들이 스스로 커뮤니티를 꾸리고 방향을 설정한 점에서 매우 인상 깊었다"며 "정부는 마중물 역할을 했을 뿐 결국 중요한 건 사람의 힘이라는 것을 다시 느꼈다"고 말했다.
이곳은 130여개 점포에 고유 캐릭터를 적용한 브랜딩과 함께 상인회가 직접 회원들을 대상으로 챗GPT 활용 교육, 카카오톡 채널 운영하는 등 활성화된 골목형상점가 사례로 꼽힌다.
이후 방문한 중앙시장에서는 온누리상품권으로 직접 물건을 구매하며 상인들과 소통했다.
그는 "오늘 시장 상황이 궁금했고, 소비쿠폰에 대한 반응을 들어보니 현장에서는 체감 효과가 분명했다"며 "지역화폐와 온누리상품권 모두가 시장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부도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소상공인 매니저 제도, 화재 등 재난 대응 방안, 수해 복구 지원책 등도 논의됐다.
한 장관은 "현장에서 구체적인 필요 사항이 많이 나왔다"며 "현장 요구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정책으로 연결하겠다"고 했다.
그는 "특히 매니저 제도는 현장 상인분들이 많이 언급해주시는 만큼 시장이 잘 돌아가는 데 핵심 지원사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보다 체계적인 인프라로 확산할 수 있도록 내부 논의를 진행하겠다"고 덧붙였다.

한 장관은 소상공인 생태계 조성을 위한 3대 과제로 ▲사회적 안전망 구축 ▲폐업 지원 및 절차 단축 ▲재취업 및 데이터 기반 회복체계 정비를 꼽았다.
그는 "수해나 산불로 생업 기반이 무너지는 일이 반복되고 있지만, 아직 소상공인을 위한 위기 대응 제도가 체계화되지 못했다"며 "긴급 경영자금 같은 지원을 법적 기반 위에서 정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일부 소상공인은 폐업을 원해도 인테리어 복원비 등으로 인해 그마저도 어렵다"며 "폐업 절차를 간소화하고, 금융 비용을 줄이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누가 폐업이 필요한지 진단할 수 있는 데이터 체계도 필요하다.
폐업 이후에도 재기할 수 있도록 훈련과 재취업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 장관은 "취임사에 언급한 진짜 성장이라는 건 가게 규모만 키우는 게 아니라 본인이 원하는 사업 형태로 안정적으로 살아가는 것"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소상공인의 삶의 방식이 존중받을 수 있도록 맞춤형 정책을 설계하겠다"고 말했다.
이성민 기자 minut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