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HMM 부산 이전으로 5년간 15조6000억원의 경제효과 기대

HMM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할 경우 5년간 15조6000억원의 경제효과와 2만1300명의 고용유발효과가 나타날 것이란 분석 결과가 나왔다.

부산상공회의소는 14일 HMM 본사 부산 이전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HMM 본사 유치 경제효과 및 유치전략’ 보고서를 발표했다.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이 HMM본사 부산 이전에 따른 파급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부산상의 제공
보고서에 따르면 HMM 본사 이전으로 5년간 △생산유발효과 11조2000억원 △부가가치유발효과 4조4000억원 △고용유발효과 2만1300명의 고용유발효과가 기대된다고 분석했다.
특히 부산에는 △생산 7조6000억원 △부가가치 2조9000억원 △고용 1만6000명에 상당하는 직·간접 유발효과를 불러올 것이란 주장이다.

또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본의 구조적 흐름을 지역으로 유입시키는 효과를 통해 국가균형발전은 물론 부산의 해운·물류산업 경쟁력 향상과 관련 지식서비스산업 성장에도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HMM 부산 이전의 정성적 경제효과로는 △연관산업 및 해운 클러스터 활성화 △일자리창출 및 고급 인재 유입 △해운·물류 글로벌 혁신 거점으로서 부산의 도시 위상 강화 △해양산업 기반시설 및 관련 혁신 생태계 촉진 △국토균형 발전 등을 제시했다.

HMM 본사 사옥 신축에 따른 경제효과도 상당하다.
50층 규모의 인텔리전트 빌딩을 건축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단기적으로 △생산유발효과 1조3000억원 △부가가치유발 5179억원 △고용유발효과 4570명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부산상의는 싱가포르와 로테르담, 상하이 등 글로벌 항만 도시의 개발 사례를 통해 HMM과 같은 해운 대기업 유치를 위한 제도적 지원 기반이 될 ‘글로벌 해운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특별법에는 부산을 해운·물류 중심도시로 성장시킬 수 있는 각종 행정특례와 세제 혜택, 이전 비용 및 연구개발(R&D) 지원, 특별 해양금융지원 프로그램 등 다양한 지원을 구체화하고, 해사법원 설립에 대한 근거도 함께 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전에 반대하는 육상노조를 설득하기 위한 방법도 제시했다.
사전 소통 및 정례 협의체를 구성하고, 일정기간 거점 근무나 원격 근무를 병행 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형 정착지원 및 복지를 확대하고, 정부·기업·노조 간 상생협약 체결과 내부 커뮤니케이션 활용 등을 통해 대상 직원의 이전 수용성을 제고하는 구체적인 대응전략을 담았다.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은 “글로벌 10대 선사 중 7곳이 해양도시에 본사를 두고 있는 상황에서 HMM(글로벌 8위) 기업 본사의 부산이전은 국내외 해운산업의 판도를 바꾸는 엄청난 이슈인 만큼 지역경제계도 부산 해운물류산업 발전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면서 지역경제계 차원의 총력지원을 다짐했다.
부산=오성택 기자 fivestar@segye.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714513932.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