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공회의소는 14일 HMM 본사 부산 이전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HMM 본사 유치 경제효과 및 유치전략’ 보고서를 발표했다.
![]() |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이 HMM본사 부산 이전에 따른 파급효과를 설명하고 있다. 부산상의 제공 |
특히 부산에는 △생산 7조6000억원 △부가가치 2조9000억원 △고용 1만6000명에 상당하는 직·간접 유발효과를 불러올 것이란 주장이다.
또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본의 구조적 흐름을 지역으로 유입시키는 효과를 통해 국가균형발전은 물론 부산의 해운·물류산업 경쟁력 향상과 관련 지식서비스산업 성장에도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
HMM 부산 이전의 정성적 경제효과로는 △연관산업 및 해운 클러스터 활성화 △일자리창출 및 고급 인재 유입 △해운·물류 글로벌 혁신 거점으로서 부산의 도시 위상 강화 △해양산업 기반시설 및 관련 혁신 생태계 촉진 △국토균형 발전 등을 제시했다.
HMM 본사 사옥 신축에 따른 경제효과도 상당하다.
50층 규모의 인텔리전트 빌딩을 건축한다고 가정했을 경우, 단기적으로 △생산유발효과 1조3000억원 △부가가치유발 5179억원 △고용유발효과 4570명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했다.
부산상의는 싱가포르와 로테르담, 상하이 등 글로벌 항만 도시의 개발 사례를 통해 HMM과 같은 해운 대기업 유치를 위한 제도적 지원 기반이 될 ‘글로벌 해운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특별법에는 부산을 해운·물류 중심도시로 성장시킬 수 있는 각종 행정특례와 세제 혜택, 이전 비용 및 연구개발(R&D) 지원, 특별 해양금융지원 프로그램 등 다양한 지원을 구체화하고, 해사법원 설립에 대한 근거도 함께 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전에 반대하는 육상노조를 설득하기 위한 방법도 제시했다.
사전 소통 및 정례 협의체를 구성하고, 일정기간 거점 근무나 원격 근무를 병행 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형 정착지원 및 복지를 확대하고, 정부·기업·노조 간 상생협약 체결과 내부 커뮤니케이션 활용 등을 통해 대상 직원의 이전 수용성을 제고하는 구체적인 대응전략을 담았다.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은 “글로벌 10대 선사 중 7곳이 해양도시에 본사를 두고 있는 상황에서 HMM(글로벌 8위) 기업 본사의 부산이전은 국내외 해운산업의 판도를 바꾸는 엄청난 이슈인 만큼 지역경제계도 부산 해운물류산업 발전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면서 지역경제계 차원의 총력지원을 다짐했다.
부산=오성택 기자 fivestar@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