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내버스·지하철 요금 인상…부담 완화책
‘김동연표 정책’ 1위…교통 분야 24% 선택
복지 11%·민생 경제 10%…민선 8기 3주년
도의회는 관련 추경 29% 삭감…차질 불가피
‘김동연표’ 교통정책인 ‘더(The) 경기패스’가 3주년을 맞은 민선 8기 경기도의 대표 정책으로 떠올랐지만 정작 혜택을 늘리기 위한 예산이 도의회에서 삭감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연령·소득에 따라 20∼53%의 환급 혜택을 제공하는 경기패스는 대중교통 요금 인상이 잇따르는 가운데 교통비 부담 완화의 대안이 되고 있다.
![]() |
한 경기도민이 경기패스를 사용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
이어 ‘360도 돌봄 추진 등 복지’(11%), ‘중소기업·소상공인 지원 등 민생 경제’(10%), ‘경기북부대개발 추진 등 지역균형발전 정책’(10%) 등의 순이었다.
각각의 정책을 긍정·부정으로 나눠 평가해달라는 물음에는 교통 분야(75%)·복지 분야(64%)·민생경제 분야(59%) 등의 순으로 긍정평가율이 높았다.
전반적 도정 신뢰 여부를 묻는 문항에는 도민 58%가 민선 8기 도정에 대해 ‘일을 잘했다’고 평가했다.
부정평가는 28%에 그쳤다.
![]() |
탁구선수 신유빈을 내세운 경기패스 홍보 포스터. 경기도 제공 |
이용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으면서 K패스와 차별화했고, 최근 가입자 140만명을 돌파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
이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도민 250만명 가운데 절반 이상이 경기패스에 가입한 것으로, 전국 K패스 가입자 중 경기도민은 40%가량을 차지한다.
![]() |
경기패스 이용을 홍보하는 김동연 경기도지사. SNS 캡처 |
![]() |
경기패스 이용자 만족도 조사. 경기도 제공 |
이번 추경안에는 하루 2회 초과 이용분인 월 60회 초과 대중교통 이용분에 대한 도의 전액 환급 예산 등이 포함됐다.
아울러 지난달 28일 150원 인상된 수도권 지하철 요금과 200∼300원 인상이 예상되는 도내 시내버스 요금 등에 대한 환급 비용이 고려됐다.
![]() |
지난해 11월 경기도 북부청사에서 열린 경기도민 정책축제. 이 자리에선 경기패스 등 도의 다양한 정책이 논의됐다. 경기도 제공 |
대중교통 월 15회 사용 때 20∼53%(20∼30대 청년 30%, 일반 20%, 저소득층 53%, 다자녀 가구 30∼50%)를 돌려받는 식이다.
여기에 이르면 이달 말부터 월 61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분 전액에 대한 환급 혜택이 계획됐다.
도는 경기패스 사업 차질이 불가피해지면서 2차 추경을 통한 재원 확보를 고심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따른 도민 부담을 경기패스 혜택 강화로 완화하려 한다”며 “하반기 추경에 관련 예산을 다시 반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수원=오상도 기자 sdoh@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