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주택도시공사(GH)가 '아동그룹홈' 주거환경 개선사업을 추진한다.
아동그룹홈은 가정해체, 방임, 학대, 빈곤, 유기 등의 이유로 보호가 필요한 아동에게 가정과 같은 주거환경에서 아동의 개별적인 특성에 맞춰 보호 양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규모 아동보호시설이다.
경기도에는 전국 그룹홈의 30%인 160곳이 운영되고 있으며 보호아동 800여 명이 생활하고 있다.
GH는 3일 수원 본사에서 우리은행, 한국아동청소년그룹홈협의회와 '아동그룹홈 주거환경 개선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에 따라 GH와 우리은행은 올해부터 2028년까지 매년 1억5000만 원씩 총 6억원을 지원한다.
이는 도내 25년 이상 된 노후 아동그룹홈 73곳을 대부분 지원할 수 있는 규모다.

그룹홈협의회는 월평균 47만원 수준의 정부 지원으로는 시설개선이 어려운 현실에서 이번 지원은 매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GH는 그동안 아동그룹홈 등에서 퇴소한 자립준비청년을 위해 임대주택 우선공급, 임대보증금 지원, 기부금 전달(2024년 5000만원) 등 다양한 주거안정 사업을 추진해왔다.
또 경기도, 경기도주거복지센터, 아동그룹홈지원센터 등과 자립지원 협업체계 및 주거복지 네트워크도 구축했다.
이번 지원으로 자립준비청년은 물론 보호아동의 주거복지 사각지대까지 해소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종선 GH 사장 직무대행은 "아동그룹홈의 노후시설 개선은 매우 시급한 문제였다"며 "GH는 앞으로도 소외된 아동과 청소년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쾌적한 주거환경 조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