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민전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전국 초·중·고 학교 건축물 현황’에 따르면 30년 이상 경과한 노후 건축물 비율은 올해 2월 기준 전국 43%로 집계됐다.
![]() |
교육청별 초중고 건축물 현황 |
이어 ▲충남 48%(1708동) ▲전남 47%(3383동) ▲충북 44%(1237동) ▲경남 43%(2131동) ▲대구 39%(726동) ▲제주 39%(423동) ▲울산 35%(310동) ▲경기 33%(2832동) ▲광주 29%(411동) ▲인천 26%(667동) ▲대전 19%(475동) ▲세종 6%(50동) 순이었다.
현행 ‘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률(교육시설법)’ 제13조는 학교시설에 대해 연 2회 이상 안전점검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주요 구조물과 전기·냉난방·환기 등 핵심 설비의 점검 업무 대부분이 외주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서울교육청을 제외한 다수의 시도교육청은 점검 결과만을 보유하고 있고, 점검 과정에서 생성되는 중간 데이터는 거의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김 의원은 “이제는 사물인터넷(IoT) 기술과 인공지능(AI) 분석을 통해 점검 과정의 중간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저장하고 시설 교체 우선순위까지 과학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시대”라며 “교육부는 IoT 기반 학교시설 관리 방식의 효과성을 철저히 검증하고, 전국적 도입·확산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유나 기자 yoo@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