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뉴욕증시 마감] 경기지표 악화에 혼조...메타 3.2%↑·테슬라 3.6%↓

뉴욕 증권거래소사진AFP연합뉴스
뉴욕 증권거래소 [사진=AFP·연합뉴스]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미중 무역 갈등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약해진 데다 미국 경기지표도 악화하면서 투자 심리가 다소 위축됐다.
4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91.90포인트(0.22%) 내린 42,427.74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44포인트(0.01%) 상승한 5,970.81, 나스닥종합지수는 61.53포인트(0.32%) 오른 19,460.49에 장을 마쳤다.
백악관이 지난 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이번주 중 전화 통화를 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힌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시 주석과의 협상이 험난하다고 언급하면서 두 정상 간 대화에 대한 기대감이 떨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에 "나는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을 좋아하고, 언제나 그랬으며, 항상 그럴 것"이라면서도 "그는 매우 힘들고(tough), 협상하기에 극도로 어렵다"고 썼다.
이날 발표된 민간 고용 및 서비스업 업황 지표가 예상을 밑돈 것도 악재로 작용했다.
ADP 전미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5월 민간 고용은 전달보다 3만7000명 증가했다.
2023년 3월 이후 최저치로 시장 예상치 11만5000명에도 한참 미치지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ADP 결과가 나온 뒤 트루스소셜 계정에 "'너무 늦는'(Too Late) 파월은 이제 금리를 낮춰야 한다.
그는 믿을 수 없을 정도다.
유럽은 9번 금리를 내렸다"고 금리인하를 독촉했다.
미국의 서비스업 경기도 약 1년 만에 위축 국면에 진입했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5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9.9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예상치 52를 하회했으며 4월의 51.6과 비교해도 악화했다.
종목별로 보면 메타플랫폼스는 3.16% 올랐고 테슬라는 3.55% 내렸다.
넷플릭스는 이날도 1.78% 뛰며 사상 최고치를 연일 경신하고 있다.
미국 경기지표가 둔화 신호를 보이자 미국 국채금리가 전반적으로 가파르게 떨어졌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인하 재개 시점이 앞당겨질 수 있다는 베팅 때문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7월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69.9%로 반영됐다.
전날 마감 무렵의 75.6%에서 떨어졌다.
12월까지 기준금리가 75bp 인하될 확률은 전날 24.4%에서 33.1%로 올랐다.

아주경제=이지원 기자 jeewonlee@ajunews.com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605081558264260.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