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연합뉴스]
3일 치러진 제21대 한국 대통령 선거 출구조사 결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당선 가능성이 높게 나온 가운데 외신들도 이를 실시간으로 보도하며 비중있게 다루었다.
로이터통신은 "진보 정당의 이 후보의 승리가 예상된다"고 전했고, 블룸버그통신은 "이번 선거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실패한 비상 계엄 시도 이후 지난 6개월 간 한국의 정치적 위기에 전환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미국 AP통신은 "출구 조사 이전에도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 계엄 여파 속에 보수 세력에 대한 대중의 깊은 분노에 힘입어 이 후보가 쉬운 승리를 거둘 것으로 예측됐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이번 선거는 한국의 튼튼한 민주주의를 확인하는 또다른 결정적 순간이 될 것"이라면서도 "윤 전 대통령의 비상 계엄으로 인한 사태가 완전히 끝나지 않은 이후 내부 분열이 더욱 악화되면서 새 대통령에게 큰 정치적 부담을 안겨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고 평했다.
아울러 외신들은 이 대표가 대선 승리 이후에도 많은 과제들이 놓여져 있다고 짚었다.
뉴욕타임스(NYT)는 "수개월 간의 정치적 혼란 이후 중도 좌파 성향의 이재명 후보가 큰 차이로 대선을 승리할 것으로 예측됐다"며, 새 대통령은 부진에 빠진 내수 경제 회복 및 주요 동맹인 미국과 중국 간 긴장을 헤쳐나가는 중대한 임무에 마주하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 후보 승리로 한국의 외교 기조에 변화가 나타날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한국이 미국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것에 대해 경고한 좌편향 정치인이 한국 대선에서 승리할 것으로 예측됐다"며 "이는 중국과 북한에 대한 한국의 관계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결과"라고 평했다.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외교 측면에서 이 후보가 국익을 중시하는 '실용주의'를 표방하며 모든 국가와 좋은 관계를 추구하고 있다면서도 지금까지 북한과 중국에 유화적 태도를 보인 반면 미국과 일본에는 강경한 기조를 보여왔다고 평가했다.
다만 이 후보가 유세 기간 중 한미 동맹과 한일 관계 역시 중요하다는 인식을 드러냈다고 부연했다.
KBS, MBC, SBS 방송 3사 출구조사에 따르면 이 후보는 51.7%의 득표가 예상돼 당선이 유력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39.3%,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7.7%의 득표율이 예상됐다.
아주경제=장성원 국제경제팀 팀장 sotg813@ajunews.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아주경제(www.ajunews.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