뽐뿌 뉴스
지역 입니다.
  • 북마크 아이콘

중견기업계 "中企 범위 확대, 성장사다리 작동 악화 우려"

물가 변동 등을 이유로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 중인 중소기업 범위 확대는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성장 의지를 잠식함으로써 성장사다리의 원활한 작동을 악화할 우려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13일 '중견기업 범위기준과 직결되는 중소기업 범위기준 검토 및 제언'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면서 "중소에서 대기업에 이르는 산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중견기업 진입 시 규제 완화, 지원 확대 등 부담을 완화하는 '성장 촉진형' 정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인식과 실천을 전환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매출액 범위기준을 최대 1500억원에서 1800억원으로 상향하고, 매출 구간을 5개에서 7개 구간으로 늘리면서 44개 중 16개 업종의 매출액 범위를 확대하는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한다고 밝힌 바 있다.


중견련의 보고서에 따르면 현행 최대 1500억원인 중소기업 매출액 범위기준은 영국,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약 두 배 수준이며 3년 평균치를 적용함으로써 여타 국가와 달리 인플레이션과 산업 변동의 영향을 선제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각각
우리나라 경제 규모의 두 배, 열다섯 배인 영국과 미국의 중소기업 매출액 상한은 각각 941억원, 641억원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중견련은 중소기업 매출액 범위기준 10~30% 상향 시뮬레이션 결과, 규모 기준 중견기업의 최대 18.7%(492개 사)가 다시 중소기업이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며 이는 2023년 한 해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기업의 1.7배에 달하는 수치라고 했다.
중견련 관계자는 "최근 4년간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중기업이 평균 0.5% 내외에 그치는 현상의 근본 원인을 숙고해야 한다"라면서,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면 규제가 대폭 늘고, 지원은 크게 줄어드는 고질적인 상황을 방치한 채, 중소기업에 머물 수 있는 조건만을 계속 완화하는 것은 경제·산업 발전의 바른 해법이 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중소기업 매출액 범위기준 개편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시행령 개정에 앞서 보다 폭넓은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토대로 관계 부처 검토 및 외부 검증 등 엄밀한 절차가 이뤄져야 한다"면서 "특히 산업통상자원부의 '중견기업 성장 촉진 전략', 기획재정부의 '기업 성장사다리 구축 방안' 등 관계 부처와의 정책 일관성을 극대화할 방안을 강구하는 데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뉴스 스크랩을 하면 자유게시판 또는 정치자유게시판에 게시글이 등록됩니다. 스크랩하기 >

0
추천하기 다른의견 0
|
공유버튼
첨부파일
  • newhub_2025051309270454481_1747096024.jpg
  • 알림 욕설, 상처 줄 수 있는 악플은 삼가주세요.
<html>
에디터
HTML편집
미리보기
짤방 사진  
△ 이전글▽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