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변동 등을 이유로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 중인 중소기업 범위 확대는 중소기업의 자발적인 성장 의지를 잠식함으로써 성장사다리의 원활한 작동을 악화할 우려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13일 '중견기업 범위기준과 직결되는 중소기업 범위기준 검토 및 제언'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히면서 "중소에서 대기업에 이르는 산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중견기업 진입 시 규제 완화, 지원 확대 등 부담을 완화하는 '성장 촉진형' 정책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인식과 실천을 전환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 매출액 범위기준을 최대 1500억원에서 1800억원으로 상향하고, 매출 구간을 5개에서 7개 구간으로 늘리면서 44개 중 16개 업종의 매출액 범위를 확대하는 등의 내용을 골자로 한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한다고 밝힌 바 있다.

중견련의 보고서에 따르면 현행 최대 1500억원인 중소기업 매출액 범위기준은 영국,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의 약 두 배 수준이며 3년 평균치를 적용함으로써 여타 국가와 달리 인플레이션과 산업 변동의 영향을 선제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각각 우리나라 경제 규모의 두 배, 열다섯 배인 영국과 미국의 중소기업 매출액 상한은 각각 941억원, 641억원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중견련은 중소기업 매출액 범위기준 10~30% 상향 시뮬레이션 결과, 규모 기준 중견기업의 최대 18.7%(492개 사)가 다시 중소기업이 되는 것으로 집계됐다며 이는 2023년 한 해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기업의 1.7배에 달하는 수치라고 했다.
중견련 관계자는 "최근 4년간 중견기업으로 성장한 중기업이 평균 0.5% 내외에 그치는 현상의 근본 원인을 숙고해야 한다"라면서, "중견기업으로 성장하면 규제가 대폭 늘고, 지원은 크게 줄어드는 고질적인 상황을 방치한 채, 중소기업에 머물 수 있는 조건만을 계속 완화하는 것은 경제·산업 발전의 바른 해법이 될 수 없을 것"이라고 했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중소기업 매출액 범위기준 개편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시행령 개정에 앞서 보다 폭넓은 이해관계자 의견 수렴을 토대로 관계 부처 검토 및 외부 검증 등 엄밀한 절차가 이뤄져야 한다"면서 "특히 산업통상자원부의 '중견기업 성장 촉진 전략', 기획재정부의 '기업 성장사다리 구축 방안' 등 관계 부처와의 정책 일관성을 극대화할 방안을 강구하는 데 지혜를 모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