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는 농번기 동안 농촌인력 지원 종합상황실을 운영, 일선 시군 및 농협과 협력해 인력수급 현황, 인건비 동향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해 시군 간 인력 조정 역할을 할 계획이다.
![]() |
전남도청 전경. 전남도 제공 |
전남도는 이 중 60%인 약 55만 5000명을 공공 인력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외국인 계절근로자 확대, 농촌인력중개센터 운영, 기관단체·대학생 및 도시민의 일손돕기 참여 유도, 근로환경 개선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했다.
외국인 계절근로자 고용을 지난해보다 43% 이상 대폭 확대해 올해 상반기 총 9000여 명이 19개 시군에 배치될 예정이다.
외국인 근로자와 고용주를 대상으로 인권 보호와 근로계약 관련 교육도 지속 추진해 고용의 질을 높일 방침이다.
또 도내 농촌인력중개센터 46개소(국내인력 중개 31·공공형 계절근로 15)를 통해 총 17만 명의 인력을 중개할 계획이다.
중개센터는 시군별로 운영되며, 인력 중개 외에도 근로자 대상 농작업 교육과 지원을 수행한다.
대학생, 청년, 기관단체 직원 등도 농촌일손돕기 현장에 투입되며, 도시농부 1000명을 모집해 인력 부족 지역에 지원할 예정이다.
김현미 전남도 농업정책과장은 “매년 농촌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농촌지역은 인력 확보와 인건비가 농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올해는 외국인 계절근로자 공급과 중개센터 운영을 강화해 농촌 인력수급이 적기에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무안=김선덕 기자 sdkim@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