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리온질환은 비정상 프리온 단백질이 뇌에 축적돼 발생하는 희귀 난치성 질환으로, 인간의 크로이츠펠트-야콥병(CJD)과 소의 광우병(BSE) 등이 대표적이다.
정 교수팀은 프리온질환 마우스 모델을 대상으로 글림파틱(glymphatic) 시스템을 활성화하는 약물과 지방유래 중간엽 줄기세포(AdMSCs)를 병행 투여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비정상 프리온 단백질의 축적이 뚜렷이 감소하고 질병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 연구 성과는 프리온질환 정복 가능성을 제시하는 획기적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신경퇴행성 질환 분야 국제 학술지인 ‘몰레큘러 뉴로디제너레이션(Molecular Neurodegeneration)’에 최근 게재됐다.
또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의 ‘한국을 빛낸 사람들’에도 소개되며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정병훈 교수는 “치료제가 없는 프리온질환에 대해 글림파틱 시스템 활성 약물과 줄기세포 기반 치료를 결합한 새로운 치료 개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향후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으로의 응용 가능성도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대학중점연구소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와 인수공통감염병(Zoonosis) 핵심연구지원센터의 연구 인프라가 성과 도출에 큰 역할을 했다.
전주=김동욱 기자 kdw7636@segye.com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