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시험 보고서 확인 등 소홀
굴착시 지하수·토사 유출 초래
광주 철도공사 중 노후주택 균열
지난해 9월 발생한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2공구 대형 땅꺼짐(싱크홀) 현상은 도시철도를 운영하는 부산교통공사의 부실한 시공사 관리·감독에서 비롯됐다는 부산시 감사 결과가 나왔다.
22일 부산시 감사위원회의 특정감사(지난해 10월21일∼11월15일) 결과에 따르면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의 대형 싱크홀은 379㎜에 달하는 집중호우와 차수공사 및 흙막이 가시설공사의 시공관리 소홀 등 복합적인 요인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 |
지난 2024년 9월 발생한 부산도시철도 사상~하단선 지반침하 사고의 원인이 ‘폭우’와 ‘부실한 차수공법’으로 드러났다. 사진은 사고 위치도 및 당시 현장 사진. 부산시 제공 |
이로 인해 굴착 공사 과정에서 지하수 및 토사가 유출돼 정상적인 굴착 작업이 진행되지 못했다.
부산교통공사는 건설사업관리단에 공정이 부진한 대책을 마련해 제출하라고만 지시했을 뿐, 대책이 수립·이행되는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지도·점검하지 않았다.
또 새로운 공법 적용이 어렵고 추가 예산 확보가 곤란하다는 이유로 상부에 공사 진행상 문제점을 보고하지 않는 등 건설사업 관리업무 전반에 대한 지도·감독을 소홀히 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시공사와 건설사업관리단은 차수공사의 품질시험 성과 검토 및 확인, 흙막이 가시설공사의 세부 안전관리계획 이행을 소홀하게 하는 등 전반적인 시공관리를 부실하게 진행한 것으로 드러났다.
시 감사위원회는 부산교통공사에 행정 조치 10건과 신분 조치 33건, 11억5900만원의 설계 변경(감액) 조치를 요구했다.
또 안전관리 전담 건설사업관리기술인 업무 수행 부적정, 사후환경영향조사 용역 보고서 작성 부적정, 설계·시공 방법 개선 및 수정공정표에 따라 공정관리를 철저하게 할 것과 관련자에게 훈계·주의를 요구했다.
21일 광주광역시에서는 북구 중흥동 광주도시철도 2호선 공사 현장 인근 주택 4곳의 담장과 주택 외벽에 균열이 발생해 입주민 6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광주시 안전관리자문단에 따르면 이번 균열은 인근 지하철 공사장에서 발생한 진동과 충격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부산·광주=오성택·한현묵 기자
<본 콘텐츠의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세계일보(www.segye.com)에 있으며, 뽐뿌는 제휴를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