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화 재개 신호에 호응하지 않고 핵대응태세를 무한히 강화한다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다.
![newhub_2024123009372670737_1735519045.jpg](//cdn2.ppomppu.co.kr/zboard/data3/hub_news2/2025/0129/newhub_2024123009372670737_1735519045.jpg)
조선중앙통신은 김정은 위원장이 핵물질 생산기지와 핵무기 연구소를 현지지도하고 현행 핵물질 생산실태와 전망계획, 2025년도 핵무기연구소의 계획 등을 구체적으로 료해(파악)했다고 29일 보도했다. 구체적인 방문 날짜와 소재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이날 현지 지도에서 현재 "위협"과 "새롭고 전망적인 안보위험성"에 대비하고 국가의 주권, 이익, 발전권을 담보하려면 "핵방패의 부단한 강화"가 "필수불가결"하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 국가의 핵대응태세를 한계를 모르게 진화시키는것은 우리가 견지해야 할 확고한 정치군사적 입장이며 변함없는 숭고한 의무이고 본분"이라고 단언했다.
그는 북한이 처한 안보 환경이 "세계적으로 가장 불안정하며 가장 간악한 적대국들과의 장기적인 대결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면서 이같은 입장을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간악한 적대국들'이 누구인지 구체적으로 거명하지 않음으로써 미국을 겨냥한 메시지의 수위를 조절했다.
김 위원장은 "적수들을 철저히 제압하고 정세를 주동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절대적 힘은 그 어떤 선언이나 구호가 아니라 실제적으로 가용한 물리력의 비축, 기하급수적인 증가"라며 "지금의 앙양된 기세를 더욱 고조시켜 무기급핵물질생산계획을 초과수행하고 나라의 핵방패를 강화하는데서 획기적인 성과를 이룩하여야 한다"고 지시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핵기술 역량이 "우리 당과 국가와 인민의 비길 데 없는 자존심이고 도도한 기상의 상징"이라며 "힘을 통한 평화, 힘을 통한 안전 보장이야말로 가장 정정당당한 우리의 투쟁방식이고 선택이고 철리"라고 주장했다.
김 위원장은 또 올해 당 제8차 대회가 핵무기 연구 및 생산 부문에 제시한 5개년 기간의 과업들이 완벽하게 수행돼야 한다며 "핵 무력 노선을 관철해나가는 과정에서 중대 분수령이 되는 관건적인 해"라고 강조했다.
이날 현지지도에는 당 중앙위원회 홍승무 제1부부장과 관련 부문의 지도 간부들이 동행했다. 김 위원장의 이날 현지지도와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 다시 대화하겠다고 밝힌 지 6일만에 나온 것이어서 북한은 당분간 대화에 응하지 않고, 핵무력 강화 노선을 가속하며 일종의 '기싸움'을 이어가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편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이 방문한 핵물질 생산기지의 구체적인 위치를 밝히지 않았는데, 북한 매체의 보도 사진을 보면 벽·바닥재 등 내부 시설이 작년 9월 공개한 '핵물질 생산시설'과 달라 같은 시설 내 다른 건물이거나 아예 다른 단지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앞서 국가정보원은 작년 9월 북한이 처음으로 공개한 우라늄 농축시설이 평양 인근 강선 단지로 추정된다고 국회에 보고했다.
최영찬 기자 elach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배포금지> |